파이썬 파트 2-1. 자료형과 문자열
1. 기본 자료형
- 문자열(string) : 메일 제목, 메시지 내용 등
- ex) “안녕하세요”, “HELLO”
- 숫자(number) : 물건의 가격, 학생의 성적 등
- ex) 52, 273, 103.32
- 불(boolean) : 친구의 로그인 상태 등
- ex) True, False
2. 자료형 확인하기
type() 함수를 이용한다.
예시
print(tpye("안녕하세요"))
# 출력
<class 'str'>
3. 문자열 만들기 - 따옴표 이용
문자열은 문자들을 큰따옴표(“) 또는 작은따옴표(‘)를 이용해 만들 수 있다.
print("안녕하세요")
print('안녕하세요')
cf) 출력문 안에 따옴표를 넣고 싶을 경우
print('"안녕하세요"라고 할게요')
print("'안녕하세요'라고 할게요")
print("\"안녕하세요\"라고 할게요")
큰따옴표를 넣고 싶을때는 제일 바깥에는 작은따옴표를, 작은따옴표를 넣고 싶을때는 그의 반대로 한다. 이외로는 이스케이프 문자 \ 를 이용한다.
cf) 이스케이프 문자 이용
\t 로 탭 사용하기 (글자들을 표 형식으로 출력할 때 많이 사용)
print("이름\t나이\t지역")
\ 역슬래시 사용
print("\\ \\ \\ \\")
# 출력
\ \ \ \
4. 여러 줄 문자열 만들기
\n 사용 (코드가 길면 읽기도 힘들고 입력도 힘들다.)
print("동해물과\n백두산")
따옴표 3개 입력하는 방법
print("""동해물과
백두산이
마르고""")
# 출력
동해물과
백두산이
마르고
# 가독성을 위해 아래와 같이 코딩시 줄바꿈이 생기는데
# \ 이용시 줄바꿈 제거
print(""" # \
동해물과
백두산이
마르고 # \
""")
5. 문자열 연산자
- +기호 : 숫자 더하기 연산자 또는 문자열 연결 연산자
- 문자열은 문자열끼리 숫자는 숫자끼리만 연산가능
print("안녕" + "하세요")
# 출력
안녕하세요
- *기호 : 문자열 반복 연산자
print(2 * "안녕")
# 출력
안녕안녕
- []기호 : 문자 선택 연산자(인덱싱) -> 문자열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
print("안녕하세요"[0])
print("안녕하세요"[-1]) # 역순 출력
# 출력
안
요
- :기호 :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(슬라이싱) -> 특정 범위를 선택
마지막 숫자는 포함하지 않는다
print("안녕하세요"[1:4]) # 1부터 3까지
print("안녕하세요"[:4]) # 처음부터 3까지
print("안녕하세요"[1:]) # 1부터 끝까지
# 출력
녕하세
안녕하세
녕하세요
6. 문자열 길이 구하기
len() 함수 사용
print("len("안녕하세요"))
# 출력
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