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 파트 1. 식별자, 주석, 출력, 실행
1. 식별자
식별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. 주로 변수 또는 함수 이름 등으로 사용된다.
- 키워드를 사용하면 불가능
- 특수 문자는 언더 바(_)만 허용
- 숫자로 시작 불가능
- 공백 포함 불가능
Cf) 키워드 확인법
import keyword
print(keyword.kwlist)
스네이크 케이스와 캐멀 케이스
- 스네이크 케이스 : 단어 사이를 언더 바(_)로 연결한 것
- ex) print input list str
- 캐멀 케이스 :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연결한 것
- ex) Animal Customer
간략한 구분
캐멀 케이스로 작성되어 있으면 클래스이며, 스네이크 케이스에서 뒤에 괄호가 붙어있으면 함수이고, 괄호가 없으면 변수이다. 예외도 있지만 대부분에 경우는 이 처럼 분류해도 문제가 없다.
2. 주석
프로그램 진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코드로,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. 주석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부분 앞에 # 기호를 붙여주면 된다.
# 이 문장은 출력하지 않는다.
3. 출력 print()
하나만 출력
print("hello world..!")
여러 개 출력
print(52, 273, "hello")
쉼표가 존재하면 자동적으로 사이에 공백이 들어간다.
줄바꿈
print()
3. 실행
파일 실행
- vscode에서 해당 파일을 연다
- 터미널에서 python 파일명.py
터미널에서 작성
- python 입력 -> 인더랙티브 셸이 실행된다.
- 다 하다가 파일 실행을 원하면 exit() 입력
- 이후 위에 파일 실행법처럼 python 파일명.py 하면 된다.
cf) 파일명이 길면 python 파일명앞부분 조금 작성하고 tab키 누르면 자동 완성
cf) 전에 했던 것 그대로 하려면 화살표 방향키 위쪽 누르면 자동 완성
본 포스팅은 ‘혼자 공부하는 파이썬’을 읽고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.